본문 바로가기
남의 마음을 들어봄

혀를 잘 관리해야 ~~

by 페이 버 2011. 1. 11.

 
낮  동안에는 
음식물을 섭취하고 말을 하는 등의 활동에 의해 
끊임없이 저절로 입안 청소가 이루어진다  이를 '자정작용'이라 한다
그러나 잠을 잘 때는 
입을 안 움직이므로 자정활동이 현저히 감소하고, 공기의 흐름마저 줄어든다
이때 입안과 목구멍에는 
'혐기성 세균'이 낮에 비해 기하급수로 번식하여 수백 만개로 늘어난다
특히 이 세균은 
혀의 미뢰(맛 돌기)와 치아·잇몸 사이 '치주낭'이라는 작은 주머니의 
미세한 틈 사이에 공기를 피해 숨어 지내며 
황 화합물을 만들어 내는데, 그것이 강렬한 입 냄새 원인이다
이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서 
이를 잘 닦고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더라도 
치아에 붙어 있는 세균과 황 화합물은 
제거되나 혀의 표면과 목구멍 속에 붙어있는 것들은 전혀 제거되지 않는다
따라서 몸속 깊은 곳에서 부터 나오는 강렬한 냄새를 뿜어내게 되는 것이다
보통 입 냄새는 
호흡기나 소화기 기능 이상이 있을 때도 생기지만, 
그 원인의 대부분은 '입 안' 에 있다 
입 안에 존재하는 
여러 종류의 세균 중 공기를 싫어하는 
'혐기성 세균'이 입 속 점막에서 떨어져 나온 
상피세포, 침,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단백질을 분해할 때 
발생하는 휘발성의 '황 화합물'이 불쾌한 냄새를 만들어내는 것이다
아침의 입 냄새는 통상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
이 때문에 한국인의 입 냄새는 서구인과는 달리 변 냄새와 유사하다
특히 스트레스 상태에 있거나 겹친 피로가 있는 경우 
침의 흐름이 저하되어 더 심한 입 냄새를 만든다
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
꼭 아침 식사를 챙기는 일이다
빵과 같은 정제된 가공식품보다 섬유질이 풍부한 밥을 먹으면 
혀와 목구멍에 붙어있는 세균들이 모두 씻겨 내려 가서 위에서 위산에 의해 사멸된다 
식사를 하고 이와 혀를 잘 닦으면 입 냄새는 결코 생기지 않는다
아침 식사를 꼭 챙기는 일은 
건강뿐 아니라 입 냄새를 없애는 중요한 습관이다
혀 안 닦으면 골다공증, 심장병 위험 높아진다
혀 표면에 세균 10만~100만 마리
직장인 이모(33)씨는 
하루 3번, 매번 4~5분씩 꼼꼼하게 양치질을 한다 
담배와 커피, 탄산음료는 입에 대지 않고 술도 잘 못 마신다 
그런 그에게 고민이 있다  바로 입 냄새다
치과에 갔더니 혀에 낀 설태(舌苔)가 
오랫동안 방치된 것이 입 냄새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
설태는 위장이나 간 질환, 빈혈, 구강암 등의 증상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
구강 건강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하루 3~4번 이를 닦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
하지만 구강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혀를 제대로 닦는 사람은 많지 않다
서울대 치대 김태일 교수팀이 
치과 환자 4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, 
칫솔모로 혀를 닦는다는 응답자는 53%(262명)였다 
2명 중 1명이 혀를 관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, 
혀를 닦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혀의 세정 상태가 양호한 사람은 19%(49명)에 불과했다
김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
혀 닦기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나 제대로 닦는 사람은 드물다 
혀의 위생상태는 전신 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
▲어릴 때부터 하루 3번 이상 
양치질과 아울러 혀를 닦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
■ 혀 속 세균, 몸 속으로 침투
혀는 표면의 주름과 수분(침)과 영양분 등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
혀에는 잇몸병을 일으키는 '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', 
충치를 일으키는 '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' 등의 세균이 10만~100만 마리쯤 있다 
세균 종류도 500여 종에 이른다.
이 세균들은 
잇몸과 치아 사이 등에 침투해 치주 질환과 충치를 일으킨다 
또 음식이나 침을 삼킬 때 몸 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
특히 노화로 침샘의 기능이 떨어져 
침 분비가 줄어들면 
세균이 몸 속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커진다 
이처럼 몸 속으로 들어간 세균들은 각종 신체 장기에서 세균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
■ 혀 안 닦으면 골다공증, 구강암 위험 
치주질환은 
골다공증, 동맥경화증, 심근경색증, 당뇨병 등 
전신성 질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와 있다
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상당수가 혀 속에서 서식 또는 증식한다 
미국 치주병학저널(Journal of Periodontology)에 실린 미 버팔로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
폐경 이후 여성들의 잇몸병은 골다공증 발병 위험을 30% 이상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
혀 속에 있는 '진지발리스' '포르시텐시스' '인터메디아' '렉투스' 등 
4가지 세균이 잇몸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, 
뼈 손실과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
혀 속 세균은 구강암의 위험도 높인다 
설태를 방치하면 지속적으로 증가한 세균들이 구강 안 점막을 자극해 
구강암 발생률을 2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
일상생활에선 입 냄새가 문제다
입 냄새의 가장 큰 원인은 
구강 내 세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발생하는 '휘발성 황 화합물'이다 
설태가 많을수록 이 화합물이 많이 생겨 냄새도 심해진다
칫솔질만 하면 구강 내 
휘발성 황 화합물의 25% 가량만 없앨 수 있으나, 혀까지 닦으면 80%까지 없앨 수 있다
■ 혀 안 쪽까지, 가볍게 3~4회 닦아라
혀를 잘 닦으면 
입 속 세균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어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
그렇다면 제대로 혀를 닦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칫솔로 혀를 닦으려면 요령이 필요하다
먼저 치아와 잇몸을 닦은 후 물로 입을 헹구기 전에 
칫솔모를 이용해 혀 전체를 3~4회 골고루 쓸어 내린다 
그 다음 물로 
입 안과 칫솔을 헹군 뒤 입을 크게 벌려 혀를 길게 내민 후, 
혀 뿌리가 있는 맨 안쪽 가운데부터 바깥으로 3~4회 다시 쓸어 내리도록 한다
이렇게 하면 구역질이 나는 사람이 있는데, 
숨을 잠깐 멈추고 최대한 가볍게 문지르도록 한다 
설태가 심한 사람은 3~4회 더 문지른다

'남의 마음을 들어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사람을 대할 때에   (0) 2011.02.19
개 장례식 때문에 ~~  (0) 2011.01.14
사랑의 대한 생각을 해 보세요   (0) 2011.01.09
태안 앞 바다   (0) 2010.12.07
마음이 예뻐지는 인생차  (0) 2010.10.04